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2)
[JAVA] Chapter 14. 클래스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 자바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모든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한다. 객체는 하나의 사물(Object)을 말하는데, 사물은 다양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사물은 모양(상태; State)와 기능(행동; Behavior)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사물을 표현할 때 이 두 가지의 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인식한다. 예를 들어, 비행기라는 사물을 설명할 때 고철로 이루어진 새 모양의 운송수단으로 설명한다면, 고철이 무엇인지와 새 모양은 무엇인지, 운송수단은 무엇인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사물을 설명하는 것은 결국 그 사물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설명하는 것이고, 이 속성 자체도 '객체'라는 것이다. 물론 사람이..
[정보처리기사] Chapter 02.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1.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정수형/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유형 기능 예 정수(Integer) 정수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 1, -1, 10, -100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 저장할 때 사용 0.123, -1.6 문자(Character) 한 문자를 저장할 때 사용, ' ' 안에 표시 'A', 'b', '1', '*' 문자열(Character String)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 " " 안에 표시 "Hello!", "1+2=3" 불리언(Boolean) 조건의 참 / 거짓(기본)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 True, Fal..
[정보처리기사] Chapter 01.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서버 프로그램 구현 1. 개발 환경 구축 개발 환경 구축은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개발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개발 환경은 응용 소프트웨어가 운영될 실제 환경과 유사한 구조로 구축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소프트웨어가 개발 이후에도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개발 프로젝트 분석 단계의 산출물을 바탕으로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선정하는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성능, 편의성, 라이선스 등의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제품을 결정하여 선정한다. 1.1. 하드웨어 환경 하드웨어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서버는 사용 목적에 따라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
[JAVA] Chapter 13. 배열 변수 1. 배열 변수의 개념 배열은 행과 열로 구성된 일련의 데이터를 말하는데, 기본적으로 1행에 순차적으로 나열된 정보를 배열이라고 한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구성 요소를 나열하면 위와 같이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열될 것이다. 다시말해 사계절이라는 상자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담겨있는 것이다. 배열이란 이와 같이 하나의 속성에 다수의 다른 속성이 담겨있는 것을 말한다. 즉, 배열은 객체라는 것이다. 배열 변수는 이러한 배열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변수에 나열된 다수의 데이터를 담는 것을 말한다. 담겨져있는 데이터가 (11, 7, 8, 22, 0) 처럼 연관이 없어보여도 '배열 변수'로 선언되는 순간 반드시 2가지의 공통점을 가진다. 배열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상위 항목 변수는 동일하..
[정보처리기사] Chapter 05.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전환 1. 데이터 전환 1.1. 데이터 전환의 정의 데이터 전환이란 운영 중인 기존 정보 시스템에 추적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새로 개발할 정보 시스템에서 운영 할 수 있도록 변환한 후, 적재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전환을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이라고 하는데 이는 추출, 변환, 적재 과정이다. 또한 Data Migration(데이터 이행 또는 이관)이라고도 한다. ​ ◍ ETL 과정: Extraction → Transformation → Load ​ 1.2. 데이터 전환 계획서 데이터 전환이 필요한 대상을 분석하여 관련 작업 계획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항목 세부 항목 데이터 전환 개요 데이터 전환 목표, 주요 성공 요인, 전제조건, 제약조건 데이터 ..
[정보처리기사] Chapter 04. 데이터베이스 구축: SQL 활용 1. 프로시저(Procedure) / 용어정리, 정의 1.1. 프로시저 개요 절차형 SQL(DB에서 연속적인 실행, 분기, 반복 등의 제어가 가능한 SQL )을 활용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트랜잭션 언어로,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을 수행한다. 프로시저를 만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여러 프로그램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프로시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Stored Procedure라고 부른다. 프로시저는 시스템의 일일 마감 작업, 일괄 작업 등에 주로 사용된다. 1.2. 프로시저 구성도 ◍ DECLARE: 프로시저의 명칭, 변수, 인수, 데이터 타입을 정의하는 선언 ◍ BEGIN / END: 프로시저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 ◍ CONTROL: 조..
[정보처리기사] Chapter 03. 데이터베이스 구축: SQL 응용 1. SQL의 개념 1.1. SQL 개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1974년 IBM 연구소에서 개발한 SEQUEL에서 유래되었다. 국제 표준 데이터베이스 언어이며,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 한 혼합 데이터 언어이다. SQL은 쿼리문(Query:질문)이지만 질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구사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구조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 기능도 수행한다는 것이다. 1.2. SQL의 분류 ◍ DDL(Data Define Language, 데이터 정의어)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정보처리기사] Chapter 02. 데이터베이스 구축: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1. 사전 조사 분석 1.1.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란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DB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데이터의 기본 단위는 저장 레코드(Stored Record)이며,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여러가지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는 면에서 단순 파일과는 다르다.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DB 시스템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때문에 물리적 설계 단계에 꼭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접근 경로 설계 등이다. ▶ 물리적 설계 시 고려 사항 ◍ 인덱스 구조 ◍ 레코드 크기 ◍ 파일에 존재하는 레코드 수 ◍ 파일에 대한 트랜잭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