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2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기사] Chapter 05. 소프트웨어 개발: 인터페이스 구현

1.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중요도: C)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설계서에서 정의한 모듈의 기능을 기반으로 확인 후, 모듈 간 연계가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공통 기능은 모듈의 기능 중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이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모듈 간 교환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순서는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해 모듈별 기능을 확인하고,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것이다. 

 

1.1. 인터페이스 설계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교환 데이터 및 관련 업무, 송수신 시스템 등에 대한 내용을 정의한 문서이다. 일반적 인터페이스 설계서와 정적/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로 나뉜다.

 

1) 일반적 인터페이스 설계서

 일반적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목록,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대표적으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와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가 있다.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을 만들고,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 데이터 명세서를 정의한 문서이다. 

◍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로, 각 세부 기능의 개요, 세부 기능이 동작하기 위한 사전/사후 조건, 인터페이스 데이터, 호출 후 결과 확인을 위한 반환값 등으로 구성된다.

 

2) 정적/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각 시스템 구성 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만든 문서이다. 시스템 주요 구성 요소 간 트랜잭션을 통해 해당 인터페이스가 시스템의 어느 부분에 속하고, 이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트랜잭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1.2. 인터페이스 설계서 별 모듈 기능 확인

설계서

외부 모듈

내부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송신 및 전달 부분

수신 부분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데이터 송신 시스템 부분

데이터 수신 시스템 부분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명세서

오퍼레이션, 사전 조건

사후 조건

정적/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그 외 부분

인터페이스 영역

 

1.3.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내외부 모듈 기능을 통해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내외부 모듈 기능과 공통 기능을 기반으로 필요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을 확인한다.

 

 


2.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중요도: A)

2.1. 모듈 연계

 모듈 연계는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또는 내부 모듈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모듈 연계 방법에는 EAI와 ESB 방식이 있다.

 

1)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는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EAI는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 및 각 시스템 간의 확정성을 높여준다. EAI의 구축 유형은 다음과 같다.

 

유형

기능

Point-to-Point

가장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식으로, 1대1로 연결한다.

변경 및 재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ub & Spoke

단일 접점인 허브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이다. 확장, 유지 보수가 유리하다. 허브 장애 발생시 시스템 전체에 영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Message Bus

(ESB 방식)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다.

Hybrid

Hub &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 방식이다. 그룹 내에서는 Hub & Spoke를, 그룹 간에는 Message Bus방식을사용한다.

 필요한 경우 한 가지 방식으로 EAI 구현이 가능하다. 데이터 병목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 SB(Enterprise Service Bus)

 

 ESB는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 데이터 변환, 웹 서비스 지원 등 표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애플리케이션 통합 측면에서 EAI와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한다. ESB는 특정 서비스에 국한 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도(Coupling)를 약하게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리 및 보안 유지가 쉽고, 높은 수준의 품질 지원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2.2. 모듈 간 연계 기능 식별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모듈과 연계된 기능을 시나리오 형태로 구체화하여 식별한다. 식별된 연계 기능은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내/외부 모듈을 구분하고, 각 모듈마다 주요 기능을 식별하고, 기능마다 시나리오를 작성)

 

2.3. 모듈 간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식별된 모듈 간 관련 기능을 검토하여 인터페이스 동작에 필요한 기능을 식별한다. 인터페이스 동작은 대부분 외부 모듈의 결과 또는 요청에 의해 수행되므로 외부 및 인터페이스 모듈 간 동작하는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한다.

 내부 모듈의 동작은 외부 모듈에서 호출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해당 업무에 대한 시나리오를 통해 내부 모듈과 관련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식별한다.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 중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은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데 사용한다.

 

 


3.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중요도: C)

3.1.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은 모듈 간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 한 것으로, 기존 데이터 중 공통 영역을 추출하거나 어느 한 쪽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정의한다.  확인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은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순서

①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②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표준 확인

③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확인된 인터페이스 표준을 검토하여 최종적인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3.2.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데이터 표준을 위해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출력 값의 의미와 데이터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확인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각 항목을 통해 데이터 표준을 확인할 수 있다..

 

3.3.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데이터 표준을 위해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확인한다. 즉,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은 확인된 데이터 항목과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확인된 데이터 표준에서 수정, 추가, 삭제될 항목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인 것이다.

 

3.4.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확인된 데이터 표준과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확인된 데이터 항목들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확인된 데이터 표준은 항목별로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 기능 중 출처를 구분하여 기록한다.

 

 


4.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중요도: B)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의 정의는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기능에 대한 구현 방법을 기능별로 기술한 것이다.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순서

① 컴포넌트 명세서를 확인한다.

②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확인한다.

③ 일관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한다.

④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형화한다.

 

4.1. 모듈 세부 설계서

 모듈 세부 설계서는 구성 요소와 세부적인 동작 등을 정의한 설계서이다. 대표적인 모듈 세부 설계서에는 컴포넌트 명세서와 인터페이스 명세서가 있다.

 

◍ 컴포넌트 명세서: 컴포넌트 명세서는 컴포넌트의 개요 및 내부 클래스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명세를 정의한 것이다.

◍ 인터페이스 명세서: 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컴포넌트 명세서의 항목 중 인터페이스 클래스의 세부 조건 및 기능 등을 정의한 것이다.

 

4.2. 모듈 세부 설계서 확인

◍ 각 모듈의 컴포넌트 명세서와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기능을 확인한다.

◍ 컴포넌트 명세서의 컴포넌트의 개요, 내부 클래스의 클래스명과 설명 등을 통해 컴포넌트가 가지고 있는 주요 기능을 확인한다.

◍ 컴포넌트 명세서의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통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확인한다.

◍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통해 컴포넌트 명세서의 인터페이스 클래스에 명시된 인터페이스의 세부 조건 및 기능을 확인한다.

 

 4.3.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인터페이스의 기능,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모듈 세부 설계서를 기반으로 일관성 있고 정형화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에 대해 정의한다.

 

1)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

 인터페이스의 기능,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모듈 세부 설계서를 통해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정의한다. 정의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에 대해 송수신 측에서 진행해야 할 절차까지 다시 세부적으로 정의한다.

 

2)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형화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형화는 정의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존적이지 않도록 표준에 맞춰 정형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이 보기 쉽게 가독성을 높이려면 프로세스 형태나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형태로 정형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5. 인터페이스 구현 (중요도: C)

 인터페이스 구현은 송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실현해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기반으로 구현 방법 및 범위 등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을 분석하고, 분석된 인터페이스 구현 정의를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5.1.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인터페이스 형식에 맞춘 데이터 포맷을 인터페이스 대상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 측에서 파싱(변환 )하여 해석하는 방식이다. 주로 JSON이나 XML 형식의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속성-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

◍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AJAX에서 XML을 대체하여 사용 됨

◍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 기본 형식인 HTML 문법이 각 웹 브라우저에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하는 문제와 SH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 됨

 

▶ JSON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①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및 전송을 위해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할 데이터를 각 시스템 및 환경에 맞게 선택한다.

② 선택한 데이터를 JSON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한다.

③ 송신 측에서 JSON으로 생성한 인터페이스 객체를 AJAX 기술 등을 이용해 수신측으로 보낸다.

④ 수신 측에서 인터페이스 객체를 수신해 파싱한 후 처리한다.

⑤ 수신 측에서 송신 측에 처리 결과를 보낸다.

 

5.2.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시스템 사이에 별도의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두어 상호 연계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엔티티로 활용하는데, 인터페이스 테이블 한 개 또는 송-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각각 두어 활용한다. 

 송신 및 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의 구조는 대부분 같지만,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도 있다.

 

예)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 순서

① 인터페이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기록한다.

② 송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한다.

③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인터페이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정해진 주기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 읽는다.

④ 수신 측 인터페이스 테이블에서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읽은 후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6.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는 구현된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 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이다.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예외처리와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예외처리가 있다.

 

6.1.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JSON, XML 등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해 구현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객체의 송수신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각 예외 케이스마다 예외처리 방법을 기술한다.

 

예) 인터페이스 객체 송신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구분

예외 상황

예외처리 방안

시스템 환경

네트워크 불안정

오류 메시지 확인

404 오류일 경우 네트워크 또는 서버 상태 확인

송신 데이터

송신 데이터 크기, 데이터 정합성, 체크 오류 발생

사전에 데이터 정제

데이터 크기 및 정합성 체크하는 기능 추가

프로그램 자체 원인

프로세스의 논리적 결함

논리적 결함 수정

테스트를 통해 사전 예방

프로세스에 따라 예상되는 예외를 알림

 

 

예) 인터페이스 객체 수신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구분

예외 상황

예외처리 방안

시스템 환경

네트워크 서버 불안정

입력 대기 큐에 요청을 적재한 후 순차적으로 처리

수신 데이터

특수 문자 등으로 파싱 오류

특수 문자 입력 케이스를 미리 파악

프로그램 

자체 원인

프로그램의 논리적 결함

논리적 결함 수정

테스트를 통해 사전 예방

프로세스에 따라 예상되는 예외를 알림

 

6.2.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처리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해당 엔티티에 인터페이스의 실패 상황과 원인등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알려 주는 방식이다. 

예) 송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기능 실패시 예외 처리방안

프로세스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인터페이스 

데이터 생성

◍ 선택 SQL, 프로그램 오류
◍ 데이터 객체 생성 오류

◍ 오류 발생 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알려준다.
◍ 예외 케이스 재발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입력

◍ 입력 SQL 오류
◍ 데이터 정합성 오류

◍ 입력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입력 실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려준다. 
◍ 예외 케이스의 재발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

DB Connection 오류

◍ 통신 결과를 통해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이메일 등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주체의 논리적 오류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와 원인을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 인터페이스 실패 결과를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이메일등으로 전송한다.
◍ 예외 케이스의 재발 방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예) 송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기능 실패시 예외 처리방안

 

프로세스

예외 상황

예외 처리 방안

인터페이스 

데이터 읽기

데이터 선택 시 오류

◍ 수신 측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예외사항을 알려준다.

◍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 재발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트랜잭션 시 프로그램의 논리상 오류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예외사항을 알려준다.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 재발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개선한다.

처리 결과 응답

DB Connection 오류

◍인터페이스 테이블에 예외사항을 기록한다.

◍송·수신자에게 이메일 등으로 예외 사항을 알려준다.

 

 


7. 인터페이스 보안 (중요도: B)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모듈 간 통신 및 정보 교환을 위한 통로로 사용되므로 충분한 보안 기능을 갖추지 않으면 시스템 모듈 전체에 악 영향을 주는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다. 보안성 향상을 위해 인터페이스의 보안 취약점 분석 후 적절한 보안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7.1.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 분석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각 구간들의 구현 현황을 확인하고, 각 구간에 어떤 보안 취약점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과정에서 각 구간의 현황을 송수신 영역의 구현 기술 및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 해야한다. 확인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기반으로 송신 데이터 선택, 송신 객체 생성, 인터페이스 송수신, 데이터 처리 결과 전송 등 영역별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한다.

 

7.2.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분석한 인터페이스 기능과 보안 취약점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은 일반적으로 3가지 영역에 적용된다.

 

◍ 네트워크 영역: 인터페이스 송수신 간 스니핑(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 ) 등을 이용한 데이터 탈취 및 변조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 암호화(아키텍처에 따라 IPSec, SSL, S-HTTP 등) 설정

◍ 애플리케이션 영역: SW 개발 보안 가이드를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코드 상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보안 기능 적용

◍ 데이터베이스 영역:  데이터베이스 동작 객체의 보안 취약점(스키마, 엔티티 접근 권한과 프로시저, 트리거 등)에 보안 기능 적용, 개인 정보나 업무상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암호화나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에 존재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발견, 제거, 보안을 고려한 기능 설계 및 구현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시큐어 코딩(Secure Coding)이라고도 불린다.

 

 


8. 연계 테스트 (중요도: B)

 연계 테스트는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이다. 연계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송수신 모듈, 연계 서버, 모니터링 현황 등이 있다.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연계 테스트 수행  연계 테스트 결과 검증

 

8.1.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연계 시스템 간의 데이터 및 프로세스 흐름을 분석하여 테스트가 필요한 항목 도출 과정이다. 

 

◍ 송수신용 연계 응용 프로그램 단위 테스트 케이스: 송수신 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할 항목 도출, 단순 개별 데이터의 유효 값을 확인 하는 경우와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작성

 

◍ 연계 테스트 케이스 : 송수신용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상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단위 테스트 케이스 작성, 연계 테이블 간 송수신 절차의 앞뒤로 연결하여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작성

 

8.2.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 일정, 방법, 절차, 소요 시간 등을 송수신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다. 연계 서버 또는 송수신용 어댑터 설치, 연계를 위한 IP 및 포트 허용 신청, DB 계정 및 테이블과 데이터 생성 등의 테스트 환경 구축한다.

 

8.3. 연계 테스트 수행

 연계 테스트 수행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계 테스트 케이스의 시험 항목 및 처리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이다. 송수신용 연계 응용 프로그램의 단위 테스트를 먼저 수행하고, 단위 테스트 수행 후 연계 테스트 케이스에 따라 ‘데이터 추출’,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반영 과정’ 등의 테스트를 수행한다.

8.4.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

 연계 테스트 케이스의 시험 항목 및 처리 절차를 수행한 결과가 예상 결과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항목별 검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운영 DB 테이블의 건수를 확인하는 방법

◍ 테이블 또는 파일을 열어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

◍ 파일 생성 위치에서 파일 생성 여부 및 크기를 확인하는 방법

◍ 연계 서버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현황을 확인하는 방법

◍ 시스템에서 기록하는 로그를 확인하는 

 

 


9.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중요도: A)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은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를 이용해 인터페이스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9.1.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과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테스트가 필요하다. 테스트 자동화 도구(==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는 다음과 같다. 

 

도구

기능

xUnit

Java(Junit), C++(Cppunit), .Net(Nunit)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STAF

서비스 호출 및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FitNess

웹 기반 테스트케이스 설계, 실행, 결과 확인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NATF

FitNess의 장점인 협업 기능 + STAF의 장점인 재사용 및 확장성을 통합한 NHN(Naver)의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Selenium

다양한 브라우저 및 개발언어를 지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Watir

Ruby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9.2.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도구

 인터페이스 동작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APM을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도구를 통해 DB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변수 값, 호출 함수, 로그 및 시스템 부하 등 종합 정보를 조회 및 분석한다.

 

◍ Scouter : 애플리케이션 및 OS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 제공 오픈소스 APM SW

◍ Jennifer : 애플리케이션 개발~테스트~오픈~운영~안정화 단계에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주는 APM SW

 

9.3.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및 감시 도구 선택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정의를 통해 구현된 인터페이스 명세서의 세부 기능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의 요건을 분석한다.

 분석 후 시장 조사와 솔루션 조사를 통해 적절한 인터페이스 구현을 검증하고, 감시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를 선택한다.

 

9.4.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확인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를 이용해 외부 시스템과 연계 모듈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전반적인 인터페이스 동작 프로세스 상에서 예상 값과 검증 값이 동일한지 비교한다.  (최초 입력 값과 입력 값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생성되는 객체의 데이터 등)

 각 단계별 오류 처리도 적절하게 구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9.5.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확인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 시스템과 연결 모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동작 여부, 에러 발생 여부 등 감시 도구에서 제공해주는 리포트를 활용한다.

 

 


10.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및 처리 보고서 작성 (중요도: C)

 인터페이스는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는 시스템 간 연계를 위한 기능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대부분 중요한 오류이다. 따라서 오류 발생 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오류사항을 확인하고 오류 처리 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 체계에 따라 관리 조직에 보고해야 한다.

 

10.1.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1) 인터페이스 오류 발생 즉시 확인

오류 발생 시 화면에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SMS, 이메일 발송 등으로 확인한다. 

 

◍ 오류 메시지 알람 표시: 인터페이스 오류 발생 시 사용자 화면에 오류 메시지 창을 알람 형태로 표시, 사용자는 오류 발생 즉시 알고 관리자는 사용자를 통해야만 알 수 있다.

◍ 오류 SMS 발송: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SMS 발송한다. 

◍ 오류 내역 이메일 발송: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이메일 발송, 이메일을 확인해야 오류 발생 사실을 알 수 있다. 

 

 

2) 주기적인 인터페이스 오류 발생 확인

 시스템 관리자가 현재 시스템 상태를 보여주는 로그나 인터페이스 오류 관련 테이블을 통해 주기적으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축적되면 오류 원인 파악이 용이하기 때문에 오류 재발 방지 및 계획 수립이 가능해진다.

 

◍ 인터페이스 오류 로그 확인: 관련 오류를 별도의 로그 파일로 생성하여 보관한다. 시스템 관리자 또는 운영자가 자세한 오류 원인 및 내역 확인한다. (권한은 관리자 및 운영자만)

◍ 인터페이스 오류 테이블 확인: 인터페이스 관련 테이블에 오류사항 기록, 오류사항 확인이 쉬워 운영자가 관리하기 용이하다. 오류가 구체적이지 않아 별도의 분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 인터페이스 감시 도구(APM) 사용: Scouter나 Jennifer 등의 인터페이스 감시 도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오류 발생 여부 확인한다. 인터페이스의 전반적인 상황 확인할 수 있다.

 

10.2. 인터페이스 오류 처리 보고서 작성

 인터페이스 작동 시 발생하는 오류의 발생 및 종료 시점, 원인 및 증상, 처리사항 등을 정리한 문서이다. 오류 발생 즉시 신속하게 작성하여 조직의 보고체계에 따라 보고한다. 정형화된 형식이 없기 때문에 조직 또는 오류 발생 시 상황에 맞춰 작성한다. 

또한, 오류 관련 사항을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한다.

 

◍ 최초 발생 시: 오류 발생 인지 후 신속하게 조직에 보고 및 대응 조직 형성, 오류 발생 구간 및 시점과 영향도를 간이 보고서, 이메일, SMS 등으로 보고

◍ 오류 처리 경과 시: 오류 처리 진행 상황과 오류에 관한 공지사항 등록 등을 보고

◍ 완료 시: 최종 조치 후 내부 조직과 고객사에 완료 상황 보고, 종합적인 내용 보고(오류 발생 시점, 오류 처리 경과, 오류 재발 방지 대책 등)